카테고리 없음

자이가르닉 효과 3. The Zeigarnik Effect.

조형희 2025. 7. 1. 07:50
반응형
자이가르닉 효과 3
The Zeigarnik Effect
█ 2 생산성 향상을 위한 활용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두 저자는 몇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이러한 기법들은 우리 뇌의 자연스러운 경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고 '로이 바우마이스터(Roy F. Baumeister)와 '존 티어니(John Tierney)는 강조한다.
● 다음 작업(Next Action) 기법: 중간에 멈출 때 그냥 멈추지 말고, 다음에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작업을 식별하여 기록해 둔다. 다음에 놓치지 않고 붙잡을 수 있는 명확한 미완성 형태가 된다. ● 전략적 중단(Strategic Interruptions): 직관에는 반하지만 계획적인 중단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포모도로(Pomodoro) 기법': 타이머를 사용하여 25분 작업한 다음 5분 휴식을 취한다. 휴식 시간 동안에도 잠재의식은 작동한다. ● 작업 전환(Task Switching): 작업 도중 진척이 없어 막히면, 다른 작업으로 전환한다. 잠재의식 속에서 계속 끓어오르다가 다시 원작업으로 돌아왔을 때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 의도적인 클리프 행거(Deliberate Cliffhanger, 아슬아슬한 상황) 만들기: 글을 쓰거나 창작할 때 문장이나 아이디어 중간에서 멈춘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다시 생각에 잠기기가 쉬워진다. 마음이 끝내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 시각적 알림(Visual Reminders) 활용: 미완결 작업을 눈에 띄게 만든다. 반쯤 진행된 할 일 목록(To Do List)이나 프로젝트 진행표는 큰 도움이 된다.
의도적인 미완 토막을 만들면 심리에 맞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심리와 함께 일하는 것과 같다. 예로, 소프트웨어 개발자 '브래드 아이작(Brad Issac)'은 '제리 사인펠드(Jerry Seinfeld)'에게 생산성 비결을 물었다. 큰 벽걸이 달력과 빨간색 마커였다. 새로운 코드를 쓴 날마다 빨간색으로 크게 X자로 표시했다. "며칠 후면 사슬이 생길 겁니다. 계속 노력하다 보면 사슬이 매일 길어지겠지요. 몇 주 지나면 그 사슬을 보는 것이 좋아집니다. 당신의 유일한 임무는 사슬을 끊지 않는 것입니다."라고 답을 했다. "사슬을 절대 끊지 마(Don't Break the Chain)"란 '습관 실행 전략'으로 생산성 분야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