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대의 충동질 2. Impulsiveness of expectation.

반응형
기대의 충동질 2
Impulsiveness of expectation
■ 인센티브의 어두운 면
전문가들의 조사에 의하면 일의 능률, 일에 대한 흥미, 창의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인센티브라고들 한다. 여기에서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 1. 그놈의 돈 때문에
사회학자 학자 필립 슬레이터(Philip Slater)는 “돈에 집착하게 되면 돈만을 추구하게 된다. 돈으로 동기를 유발하면(모티베이션), 그 결과로 점차 일의 내용이 저하된다”라고 한다. 사람이 애완견에게 비스킷을 던져주듯 돈에 유인되면 자신이 오직 보상을 위해 일하는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미국 심리학교수 '에드워드 데키(Edward Deci)'는 “사람들이 돈이나 인정을 받기 위해 일한다고 생각게 되면 일에 대한 즐거움이나 능률이 저하된다. 돈은 일에 대한 본질적인 동기를 내쫓는다”라고 말한다.
● 2. 경쟁은 재미없어
경쟁에 이기기 위한 외부적인 자극은 일 자체의 즐거움을 감소시킨다. 재미가 없으면 잘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기는 사람들이 있으면 의례 뒤처져 있는 사람들이 있게 된다. 인센티브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상대적인 패배감, 낙담, 무관심은 보상제도가 주는 또 다른 대가다. 인공적인 부양책으로 북돋을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동기이다. 주부가요 열창의 노래는 긴장의 극복이지 흥겨운 노래는 아니다. 직장의 일은 생활이지 잠시 후 끝나는 무대는 아닌 것이다.
● 3. 멍석 깔아 놓으면 하던 짓도 안 해
외부에서 주입한 동기부여는 자신이 조정이 되고 있다는 생각에 자율성을 상실케 된다. 특히 “지배적인 관리자 밑에서 일하는 사람의 경우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임금 및 제반 혜택에 대한 관심만 극히 높다”라고 제임스 코넬(James Cornell)은 말한다.

 

반응형